반응형
가변인자란 말그래도 인자의 개수가 정해져 있지 않다.
C++의 함수의 오버로딩과의 개념과도 다르다.
printf의 경우 함수의 인자의 개수가 정의 되어 있지 않다.
사실 이런식으로 코딩을 하지 않겠지만, 아래 예시는 가변인자의 기본개념이다.
인자의 개수가 정의 되어 있지 않다는거다.
#include <stdarg.h>
#include <string.h>
int sum(int count, ...)
{
int res = 0;
va_list ap;
int i;
va_start(ap, count);
for(i=0; i<count; i++) res += va_arg(ap, int);
va_end(ap);
return res;
}
void setup()
{
Serial.begin(9600);
}
void loop()
{
Serial.println(sum(10, 1,2,3,4,5,6,7,8,9,10));
delay(1000);
}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와 미분방정식 (0) | 2020.10.08 |
---|---|
아두이노와 가변인자 #3 (0) | 2020.09.29 |
아두이노와 가변인자 #1 (0) | 2020.09.29 |
아두이노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11 (0) | 2020.09.27 |
아두이노를 이용한 데이터 저장 -#10 (0) | 2020.09.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