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전 코드에 대한 최종 설명이다.
아두이노에서 정수, 실수, 실수해서 총 10바이트를 보낸다.
그것을 컴퓨터(원도우)에서 받는 코드 이다.
원도우에서 받는다면 데이터를 가공하거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기 용의 하다.
예를 들어 온도, 습도, 등등 여러개의 값을 아두이노에서 측정하고
혹은 여러군데서 측정하고 무선으로 컴퓨터에 보낸다. 혹은 라즈베리의 리눅서에 보낸다.
보낸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활용하면 된다.
아두이노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AI에 활용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 할 수가 있을것 이다.
마지막으로 데이터를 텍스트 문자열로 보내는것은 무지 피곤한일이다.
데이터 손실도 발생하거나 다시 분리하여 숫자로 만드는 작업 또한 귀찮은 일이다.
그렇게 떄문에 데이터 처리는 바이너리가 편하다고 할 수가 있다.
'파이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이썬 바이너리파일 쓰기 -#9 (0) | 2021.10.04 |
---|---|
파이썬 바이너리파일 쓰기 -#8 (0) | 2021.10.04 |
파이썬 바이너리파일 쓰기 -#6 (0) | 2021.10.03 |
파이썬 바이너리파일 쓰기 -#5 (0) | 2021.10.03 |
파이썬 바이너리파일 쓰기 -#4 (0) | 2021.10.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