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락실

이미지 오버레이와 베젤에 대한 정리

by 오징어땅콩2 2022. 6. 18.
반응형

아래 내용은 라즈베리, N2, 오도로이드, XU4와 같은 모든 게임기에 적용되는 내용이다.

아래 내용은 베젤에 대한 내용이다.

레트로아크에서는 오버레이라고 적혀 있다.

베젤을 어떻게 화면에 보여지게 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베젤이미지는 png 파일이며 일반적으로 롬파일명과 일치 한다.

만약 같은 롬파일명과 같은 이미지가 없다면 폴더명으로 그 폴더는 모든 게임은 같은 게임을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물론 같은 코어는 동일한 베젤을 나오게도 할 수가 있다.

반드시 게임 화면이 아래에 존재하고 베젤이미지는 위에 존재 한다.

어떻게 보면 이미지파일이 위에 있기 때문에 게임 화면이 안보이게 된다는 말이다.

어떻게 보일수 있을지 의문이 발생한다.

그렇다 베젤 이미지는 반드시 일부 영역이 투명파일로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게임화면과 베젤이미지가 겹치더라도 화면에 나올수 있는것이다.

옵션에서 투명도를 조작해서 두가지 화면을 겹칠수 있기는 하지만 그렇게는 잘 하지 않는다.

만약 투명도를 0으로 한다면 베젤 이미지는 전혀 보이지 않는다.

즉 1이면 게임화면 위에 완전히 덥어 버리고 0이면 전체를 사라지게 한다.

0.5 정도면 반반 겹쳐 보이게 된다.

어째던 1.0 값을 사용하므로 그냥 몰라도 상관 없다.

이제 마지막으로 베젤의 용도를 알아 보자.

1. 게임 화면은 게임이 처음 개발할 당시의 화면의 픽셀을 기준으로 한다.

2. 그렇기 때문의 지금은 16:9 모니터와의 비율적으로 다르다.

3. 대부분의 이전 게임들이 4:3의 기준으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4;3 액정, 모니터를 구한다면 베젤 같은것은 필요 없다.

4. 4:3의 게임을 강제로 16:9로 늘린다면

4.1 가로 게임의 경우 케렉터와 배경이 늘어 나게 된다. 배경은 그렇다고 치더라도 케렉트가 살쪄 보이게 된다.

4.2 세로 게임의 경우 케렉터, 비행기가 아주 많이 뚱뚱한 비행기가 된다.

4.3 이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빈 공간을 이미지로 채워 버린다. 이것을 베젤이라고 부른다.

결론 베젤의 용도는 원래 게임의 크기로 했을경우 빈공간이 발생하는데 그것을 채우는 용도를 위한 것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