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여기까지 왔다면 약간 중간까지 온것이다.
여기서 한가지 철학을 이해 하고 넘어 가야 한다.
C++ 이나 아두이노의 철학은 대부분의 프로그래머들이
클래스를 만드는것에 있지 않다.
그냥 사용법만 알면 충분하다.
클래스 내부문법에는 관심이 없다.
그냥 사용만 하면 되는것이다.
그다음 클래스 내부를 이해 하는것이다.
이전에도 이야기 했지만 모든것을 이해 할라고 하면 안된다.
그냥 메인 loopr과 setup 정도만 이해 하면 된다.
ps. 아래 내용이 이해가지 않는다면 댓글로 질문 하기 바랍니다.
void setup()
{
Serial.begin (115200); //시리얼 프린트를 시작합니다.
pinMode(LED_BUILTIN, OUTPUT);
}
void loop()
{
Calendar a(2020, 3, 1, 2, 3, 0);
Calendar b(2020, 4, 1, 2, 3, 0);
if( a==b) digitalWrite(LED_BUILTIN, HIGH);
else digitalWrite(LED_BUILTIN, LOW);
if( a > b) Serial.println("a >b");
else Serial.println("a <b");
delay(1000);
}
http://colorscripter.com/info#e" target="_blank" style="color:#e5e5e5text-decoration:none">Colored by Color Scripter
|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와 달력 - #10 (0) | 2020.03.05 |
---|---|
아두이노와 달력 - #9 (0) | 2020.03.05 |
아두이노와 달력 - #7 (0) | 2020.03.05 |
아두이노와 달력 - #6 (0) | 2020.03.05 |
아두이노와 달력 - #5 (0) | 2020.03.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