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한번 더 복습을 하자.
<!DOCTYPE html>
<html>
<body>
<h1>My First Heading</h1>
</body>
</html>
|
나는 단순히 "My First Heading"이라는 글자를 보여주고 싶은데,
쓸데 없는 문장을 많이 붙여서 전송하고 있다.
<!DOCTYPE html>
<html>,<body>
</body>,</html>
|
등등 이상한 글자들이 많이 붙여서 보내고 있다.
왜 그럴까 ?
그렇다 이것은 형식이다. 이렇게 보내야 웹브라우즈가 알아 먹는 형식이다.
이런 형식들을 통틀어 프로토콜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
만약 나는 만사가 귀찮고, "My First Heading" , 이것만 보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
방법은 한가지 방법뿐이다.
본인이 직접 웹브라우즈를 만들면 된다.
물론 만들수 없다. 쉬운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본인이 형식을 직접 만들어 혹은 무형식이라도 만들어서 하고 싶다면 본인만의 웹브라우즈를 만들어야 한다.
반대로 그렇지 않다면 정해진 형식을 지켜야 한다.
쉽게 말해서 프로토콜이라는것을 공부해야 한다.
형식을 따르던지, 만들던지 하는것이다.
그래서 HTML도 버전이있고, 웹브라우즈 마다 지원하는 HTML버전이 있다.
혹은 내가 사용하는 웹브라우즈에서 그 형식을 지원 하지 않을수도 있다.
그래서 인터넷은 서로의 통신 규칙이 맞아야 한다는것이다.
간략하게 설명했지만, 왜 형식을 지키는 이유에 대한 설명이다.
모 대학교수님이 이야기 한것 처럼 천재는 암기력이 좋은게 아니고,
기존 질서에 대한 비판을 하고 새로운 형식창조를 하는 사람이다.
이글을 보는 본인들이 프로토콜을 공부하기 싫고 귀찮으면,
본인만의것을 만들면 된다. 이것이 천재가 아닐까 생각한다.
물론 지금까지 나타났다 사라지는 수많은 프로토콜 처럼, 수많은 천재가 나타 났다 사라졌다.
'아두이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두이노 이더넷 웹서버 만들기 -#7 (0) | 2020.05.01 |
---|---|
아두이노 이더넷 웹서버 만들기 -#6 (0) | 2020.05.01 |
아두이노 이더넷 웹서버 만들기 -#4 (0) | 2020.04.05 |
아두이노 이더넷 웹서버 만들기 -#3 (0) | 2020.04.05 |
아두이노 이더넷 웹서버 만들기 -#2 (0) | 2020.04.05 |
댓글